
공공임대주택 유형별 개요. / 자료=LH
LH는 올해 총 13만200가구의 임대주택 공급계획 중 상반기까지 건설·매입·전세임대 등 다양한 유형의 임대주택 5만6773가구를 공급해 국민 주거안전망 구축에 힘써왔다.
지난해 ‘서민·중산층 주거안정 지원방안(전세대책)’에 따라 새롭게 도입된 공실활용 전세형 임대주택 1만5000가구, 공공전세주택 1600가구 및 신축매입약정 2300가구 공급 추진 등 전세시장 조기 안정화를 위한 노력도 이어갔다.
오는 7월부터는 전국에 총 7만5284가구의 주택을 공급한다. 주택 유형 별로는 국민·영구·행복주택 등 건설임대 2만9686가구, 매입임대 2만9311가구, 전세임대 1만6287가구이며, 지역별로는 수요가 가장 많은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에 4만1786가구를, 광역시 및 기타지역에는 3만3498가구를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지난해 발표된 전세대책의 지속 이행을 위한 공급(2만300가구)도 추진한다.
도심 내 주택을 별도의 소득·자산 요건 없이 최대 6년간 전세로 임대하는 공공전세 5841가구, 임대주택 품질 제고를 위해 주요 건축공정에 LH가 직접 참여해 매입·임대하는 신축매입약정 1만2657가구를 공급한다. 고시원·숙박시설 등의 도심 비주거 시설을 리모델링해 청년·1인 가구에게 공급하는 비주택리모델링 역시 4500가구 공급을 추진한다.
연말에는 통합공공임대주택을 국내 최초로 시범 공급한다. 이는 영구·국민·행복주택을 하나로 통합한 것이다. 유형별 상이했던 소득·자산 기준 등을 일원화해 수요자들이 보다 쉽게 임대주택을 신청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시범사업은 과천지식정보타운 및 남양주별내 사업지구 내 2개 단지에 약 1100가구 공급이 예정돼있다.
김관주 기자 gjoo@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