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대표는 11일 오후 2시부터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 국제회의실에서 ‘코로나 이후 지속경영 ESG에서 답을 찾다’를 주제로 열린 ‘2021 한국금융미래포럼’에서 금융회사의 ESG 추진 사례에 대해 발표를 했다.
이날 김 대표는 먼저 ESG 경영환경에 대해 “기후변화 위기 극복을 위한 환경 관련 정책 등의 급격한 제도화, 친환경 투자로의 자금흐름 재조정”이라고 말문을 열었다.
우선 저탄소 경제로의 전환은 2021년 발효된 파리기후협약을 들 수 있다. 파리기후협약에는 195개 협약국이 함께하고 있다. 탄소중립선언을 통해 EU(유럽연합)와 미국, 일본, 한국은 2050년까지, 중국은 2060년까지 탄소배출 ‘0’을 달성할 예정이다.
김 대표에 따르면 글로벌 자산운용사 블랙록 등 주요 자산운용사들도 ESG 투자 확대를 선언하고 있다. 투자전략 결정에서 기후변화와 관련된 위험과 대응을 주요 지표로 선정하고 있다.
김 대표는 “블랙록이 투자하는 회사는 ESG 경영을 잘하고 있다는 뜻인데, 올해 KB금융에 대한 지분을 늘린 것을 보면 잘하고 있다는 뜻 아니겠느냐”고 말해 웃음을 자아냈다.
KB금융은 이를 위해 글로벌 이니셔티브 참여를 통한 기후환경 변화에 대한 책임 이행을 실천하고 있다. KB금융은 올해 SBTi(과학적 기반 감축목표 이니셔티브), PCAF(탄소회계금융협회), NZBA(넷 제로 은행연합)에 신규 가입했다.
김 대표는 “SBTi의 경우 그룹 탄소배출량 감축 목표에 대한 과학적 근거 마련과 달성도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며 “국민은행은 ESG 중장기 추진 계획으로 저탄소 경제 전환에 기여하고 환경과 사회 책임경영을 통해 세상을 바꾸는 금융을 실천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권혁기 기자 khk0204@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