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NP파리바카디프가 글로벌설문조사 “신용보험, 심화된 건강 우려와 대출 미상환 방지하는 안전장치"를 진행했다./사진= BNP파리바카디프
BNP파리바 카디프생명은 글로벌 본사 BNP파리바카디프가 코로나19로 인한 소비자의 보험 보장에 대한 니즈, 대출과 신용보험에 대한 인식과 태도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진행한 글로벌 설문조사 'Protect & Project oneself'의 결과를 발표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설문조사는 3개 대륙(유럽, 중남미, 아시아) 내 총 21개국 2만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설문조사에서 소비자들은 코로나19로 고조된 ‘건강’ 및 ‘잠재적 소득 감소’에 대한 우려를 나타냈다. ‘코로나19로 이미 경험했거나 경험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은 무엇인지’를 묻는 질문에 글로벌 전체 응답자의 4분의 3인 82%가 적어도 한 가지 경제적 문제를 겪었거나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답했다. 67%는 소득 감소를 경험했거나 예상한다고 응답했고, 55%는 계획된 소비를 연기 또는 취소했거나, 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대답했다.
한국 응답자들은 글로벌 전체 응답률보다 높은 75%가 코로나19 위기 중소득 감소를 경험했거나 예상한다고 답했다. 39%는 계획된 소비를 연기 또는 취소했거나, 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답했다.
재정적인 어려움은 대출금 상환 능력에도 영향을 미쳤다. ‘월 대출금을 상환하지 못한 경험이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대출을 받은 경험이 있는 응답자 중 40%가 대출금 미상환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이는 2019년 동일한 질문에 답한 비율보다 5p 증가한 수치다.
국내 응답자의 경우 2019년 응답률 보다 3p 상승한 29%가 '월 대출금을 상환하지 못한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대출금을 상환하지 못할 위험은 무엇인지'에 대한 질문에 글로벌 전체 응답자(65%)와 한국 응답자(68%) 모두 예상치 못한 건강 문제로 직면할 수 있는 실업을 가장 위험한 상황으로 답했다.
대출금 미상환 경험은 신용보험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졌다. 조사에 따르면, 신용보험에 대한 글로벌 전체 응답자의 인지도가 상승했다. '예기치 못한 보험사고 발생 시 대출금을 대신 갚아주는 신용보험에 대해 들어본 적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글로벌 전체 응답자의 69%가 '알고 있다'고 답했는데, 이는 2년 전 설문조사보다 6p 상승한 결과다. 한국 응답자들도 2년 전 조사결과보다 6p 상승한 45%가 신용보험에 대해 '알고 있다'고 답했으며, 그중 11%는 신용보험에 가입했다고 응답했다.
오준석 BNP파리바카디프생명 사장은 "이번 글로벌 설문조사를 통해 코로나19 이후 보험 소비자들이 직면한 건강에 대한 우려 심화와 파생적인 경제적 어려움, 나아가 필요로 하는 보장 영역에 대해 더 깊게 이해할 수 있었다"며 "특히 질병이나 사고로 인한 소득 감소와 실업으로 인해 위협받고 있는 차주의 채무상환 능력을 든든히 받쳐줄 안전장치로서 신용보험의 역할과 한국 시장에서의 성장 가능성에 대해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임유진 기자 uji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