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로써 LG화학의 연간 탄소나노튜브 생산능력은 500톤에서 1700톤으로 확대됐다. LG화학은 CNT를 배터리 양극재 도전재용으로 LG에너지솔루션 등에 공급한다.
탄소나노튜브는 배터리, 반도체, 자동차부품 등에서 주목받는 차세대 신소재다. 전기·열 전도율이 구리와 다이아몬드와 동일하면서 강도는 철강의 100배에 달한다.
리튬이온배터리 양극재에 첨가하면 전도도를 높여 충방전 효율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LG화학에 따르면 기존 도전재인 카본블랙을 탄소나노튜브로 대체하면 전도도는 약 10% 이상 높아지고, 사용량은 30% 줄일 수 있다.
LG화학은 올해 안으로 탄소나노튜브 3공장 추가 증설에 착수하겠다고 밝혔다.
또 배터리 이외 반도체, 자동차, 건설 분야 등으로 탄소나노튜브 판매처 확대를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
노국래 LG화학 석유화학사업본부장은 "탄소나노튜브는 배터리 소재 외에도 다양한 용도로 시장 확대 잠재력이 큰 사업으로 생산능력 확대와 우수한 품질 경쟁력을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는 업체로 거듭날 것"이라고 밝혔다.

LG화학 여수 CNT 2공장.
곽호룡 기자 horr@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