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빈대인 부산은행장(왼쪽)과 황윤철 경남은행장(오른쪽). /사진=각사
26일 금융권에 따르면 BNK부산은행은 비공개로 임원후보추천위원회(임추위)를 개최했다.
임추위는 향후 경영 현안에 대한 면접 등을 통해 최종후보군(숏리스트)을 구성한다. 이후 최종후보군을 대상으로 외부기관 평판 조회와 심층 면접 등을 진행한 후 최종 후보 1명을 선정하며 오는 3월 주주총회 의결을 거쳐 최종 선임하게 된다.
빈대인닫기

빈대인 행장은 지난 2017년 부산은행장으로 선임돼 어수선했던 내부 분위기를 되잡고, 사업 개선을 이끌어냈다. 지난 2018년 순이익은 전년대비 70.2% 증가했으며, 지난 2019년에는 연 실적 3748억원을 기록했다.
또한 빈대인 행장은 디지털금융을 중심으로 사업구조를 개편해 금융혁신을 추진하고 있으며, 고객중심적 ‘디지로그 뱅크’ 구현에 속도를 내고 있다.
부산은행을 비롯해 경남은행과 BNK캐피탈, BNK저축은행 등도 시일 내 차기 대표이사 선임을 위한 임추위를 개최할 예정이다.
황윤철 BNK경남은행장도 지난해 실적이 하락했지만 내부에서는 준수한 실적을 낸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또한 지난 2018년 경남은행장으로 선임돼 실적 반등을 일으켰으며 디지털금융으로의 전환에 성공했다. 조직 안정에 기반을 둬 황윤철 행장도 연임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빈대인 행장과 황윤철 행장은 첫 2년의 임기를 마친 후 지난해 나란히 1년 연임에 성공한 바 있다. 최근 시중은행에서도 조직 안정화에 따라 3연임 사례 등이 나오면서 두 행장의 연임 가능성도 높아졌다.
아울러 이두호 BNK캐피탈 사장과 성명환 BNK저축은행 사장의 임기도 올해 종료됨에 따라 계열사 임추위를 별도로 진행된다. BNK금융이 지난해 비은행 부문에서 실적 성장을 이룬 만큼 두 대표이사도 연임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BNK캐피탈은 자산이 전반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지난해 분기별로 평균 2000억원가량 증가하기도 했다. 디지털금융을 글로벌 시장에서도 도입하는 등 해외사업의 질적 성장을 추진하고 있다. 성명환 사장은 전임 사장의 비리 속 조직 안정화를 이뤄냈으며, 기업금융을 기반으로 성장 동력을 발굴하고 있다.
임추위를 통해 선정된 최종후보자는 오는 3월 주주총회 의결을 거쳐 최종 선임될 예정이다.
김경찬 기자 kkch@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