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재계에서는 고 이건희 회장의 선례로 볼 때 지금이 이 부회장이 회장직에 오를 적기라는 의견도 나온다.
고 이건희 회장은 1987년 11월19일 아버지 이병철닫기

당시 45세에 불과했던 이 회장은 "미래지향적이고 도전적인 경영으로 삼성을 세계적인 초일류 기업으로 성장시키겠다"는 포부를 드러냈다. 이 회장은 이를 발판 삼아 삼성그룹 창립 50주년을 맞은 이듬해 '제2창업'을 선포하고, 1993년 "마누리와 자식 빼고 다 바꾸라"는 신경영을 선언했다. 삼성이 품질경영이라는 국제화 흐름에 따라가지 못 한다면 2류 기업에 머물 것이라는 위기감이 바탕이 됐다. 이후 이 회장은 33년간 삼성을 이끌며 자신이 장담한 대로 삼성을 '초일류 기업'으로 성장시키는데 성공했다.

1987년 12월 이건희 회장이 삼성 회장 취임사를 하고 있다. 사진=삼성.
이재용 부회장이 삼성을 이끌고 있는 지금도 당시처럼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미국과 중국의 패권다툼은 갈수록 심해지고 있는 상황이 중간에 낀 삼성으로서 부담이 되고 있다. 여기에 코로나19 확산세가 지속돼 세계경제 회복 시기를 늦추고 있다.
이 부회장이 삼성 회장에 올라 위기 돌파 의지를 밝혀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는 이유다.
다만 이 부회장이 당분간 회장직에 오르지 않을 것이라는 예상에 더 무게가 실린다.
통상 12월 첫째주에 진행되는 삼성그룹 정기인사도 정상적으로 진행될 수 있을 지 불투명하다.

2020년 10월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베트남에서 현지 사업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삼성.
이 부회장도 회장직에 연연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부회장은 2017년 국정농단 2심 재판에서 "이건희 회장이 삼성그룹의 마지막 회장"이라고 말한 바 있다. 이는 이 부회장 특유의 실용적인 경영 스타일이 반영된 발언으로 평가된다. 이건희 회장이 쓰러진 2014년부터 실질적으로 삼성을 이끌고 있는 이 부회장에게 상징적인 직급은 딱히 의미가 없다고 여기는 셈이다.
그럼에도 회장이라는 직함이 가지는 대외적인 의미는 적지 않다는 지적이다.
이 부회장은 4대그룹 총수 가운데 유일하게 부회장 직함을 달고 있다. 특히 최근 40·50대 젊은 총수들이 속속 그룹 회장직을 맡는 추세다. LG 구광모 회장은 2018년 구본무닫기

곽호룡 기자 horr@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