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셀트리온은 18일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신도시 내 부지에 기공 발파를 시작으로 제3공장 및 글로벌생명공학연구센터(이하 연구센터) 건립을 본격화한다고 밝혔다.
셀트리온은 다품종 생산 및 공급 체계 구축을 위해 6만 리터 규모 바이오의약품 제3공장을 건립하고, 연구·개발과 공정개발 및 임상을 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원스톱’ 대규모 연구센터도 신축한다.
셀트리온은 총 5000억원을 투입해 제3공장과 연구센터를 준공할 예정이다. 제3공장은 기존 2공장 부지 내 대지면적 4,700㎡(약 1,500평)에 4층 규모, 연구센터는 2공장 인근 부지 대지면적 10,033㎡(약 3,000평)에 지하 1층, 지상 6층 규모로 건립을 계획하고 있다. 제3공장은 2023년 5월, 연구센터는 2022년 7월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제3공장은 밸리데이션 완료 후 2024년 6월부터 실제 상업 생산을 개시할 예정이다. 완공 시 셀트리온은 기존 1, 2공장 19만리터에 더해 총 연간 생산량 25만 리터급 생산시설을 확보하게 된다.
특히 이번 3공장에는 바이오의약품 생산에 더욱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7500리터 규모 배양기 총 8개를 구축하기로 했다. 배양기가 많은 만큼 배차 간격도 짧아져 기존 생산시설과 대등하거나 높은 수준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셀트리온은 이번 3공장 및 연구센터 건립에 따라 신규 고용 창출은 약 3000명 가량이 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연구센터에는 2000명 규모의 전문 바이오 개발 인력들이 근무하며 혁신적 제품 개발에 매진해 다양한 신규 파이프라인을 대폭 확충해나간다.
또한 셀트리온은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시장 확대에 따라 대량 생산을 위한 설비 투자도 병행해 준비 중이다.
인천 송도에 설립하기로 한 20만 리터 규모의 생산시설은 ‘제4공장’ 및 복합 바이오타운으로 건립될 예정이다. 4공장 건립이 완료되면 셀트리온의 생산 능력은 국내에서만 45만 리터 규모에 이르게 된다. 이들은 2030년까지 해외공장을 포함해 총 60만 리터 규모의 생산 능력을 확보할 방침이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제3공장 및 글로벌 생명공학연구센터 건설을 본격화하며 급증하고 있는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수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앞으로 더욱 탄력적이고 효율적인 바이오의약품 연구 및 생산에 역량을 집중할 수 있을 것”이라며 “나아가 인천 송도를 중심으로 하는 글로벌 바이오 헬스케어 생태계 발전에서 앞장서 우리나라 바이오산업 발전에 보탬이 될 수 있도록 더욱 정진하겠다”고 말했다.
정은경 기자 ek7869@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