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15일 박정호닫기



현대HCN은 현재 매각 대상인 다른 유료방송에 비해 재무건전성이 가장 좋고, 서울 강남·서초, 부산, 대구 등 핵심 지역 방송 사업권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업계에선 ‘알짜’ 매물로 꼽힌다.
업계에서는 이번 현대HCN을 누가 인수하느냐에 따라 유료방송 시장의 판도가 바뀔것으로 전망했다.
작년 하반기 기준 유료방송 시장 점유율은 KT(KT스카이라이프 포함)가 31.52%로 1위를 차지했다. 2위는 LG유플러스·LG헬로비전(24.91%), 3위는 SK브로드밴드·티브로드(24.17%)다.
현대HCN을 KT가 차지할 경우 1위의 입지를 더 확고하게 할 수 있다. 반면 2위 자리를 놓고 치열하게 경쟁 중인 LG유플러스·헬로비전과 SK브로밴드·티브로드밴드가 인수할 경우 KT의 자리를 노려볼 만 하다.
현대HCN(3.95%)을 놓친 통신사들은 남은 딜라이브(5.98%)와 CMB(4.58%) 인수 경쟁을 놓고 치열한 경쟁을 펼칠 것으로 보인다.
이통3사 모두 본입찰에 참여했지만, 구체적인 입찰가에 대해서는 밝히지 않았다.
업계에 따르면 현대백화점그룹이 산정한 현대HCN의 매물가는 6000억~7000억원 사이다. 반면, 이통3사는 4000억~5000억원을 적당한 값으로 보고 있다. 입찰가가 서로의 기대치에 미치지 못한만큼 매각이 무산될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현대HCN은 이달 24일쯤 우선협상대상자를 정해 통보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앞서 현대백화점그룹은 지난 3월 케이블 TV 계열사인 현대 HCN을 물적분할 한다고 공시하고 지난 5월 예비입찰을 진행했다.
정은경 기자 ek7869@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