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감독원은 9일 소비자경보 최고 등급 ‘위험’을 발령했으며, 2012년 소비자경보 제도를 도입한 후 최고 등급 발령은 첫 사례다.
최근 국제유가 급락으로 향후 유가 상승을 예상하는 투자자들이 레버리지 유가연계 상품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있는 상황이다.
ETN의 유동성공급 기능이 원활치 못해 거래소 및 발행사가 큰 괴리율에 따른 손실위험을 알리고 있어도 거래량과 괴리율이 폭등하는 등 위험이 확대되고 있다.
금감원은 괴리율이 폭등한 상황에서 투자할 때 투자자가 큰 손실을 볼 수 있어 긴급히 최고 등급의 소비자경보를 발령하게 됐다고 밝혔다.
특히 레버리지 ETN 투자가 증가하면서 괴리율이 급등하는 등 시장가격이 지표가치 대비 큰 폭으로 과대평가되는 현상이 발생되고 있다.
이는 유동성공급자(LP)의 유동성공급 기능이 원활치 못해 발생하는 것으로, 괴리율이 급등한 상황에서 ETN 투자 시 큰 손실을 볼 수 있어 금감원은 최고 수준인 ‘위험’ 등급의 소비자경보를 긴급히 발령했다.
레버리지 ETN 괴리율 확대는 유가 상승을 기대하는 투자자의 매수에 대응하여 유동성공급자(LP)의 기능이 원활하게 작동하지 않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했다.
유동성 공급 기능이 사라진 시장에서 투자자들의 매수물량이 급증하면서 시장가격이 지표가치를 크게 상회하며 괴리율이 폭등했다.
삼성·신한·NH·미래에셋 등 4개사가 판매한 레버리지 ETN 기준 월간 개인 순매수 금액은 지난 1월 278억원에서 3월 3800억원으로 3522억원이 늘어나 무려 1266.9% 증가했다.
지난 8일 기준 주요 레버리지 ETN 상품의 괴리율은 종가 기준 35.6~95.4%로 매우 높은 수준이다.
ETN은 지표가치에 연계되어 수익이 결정되고, 유동성공급자(LP)가 6% 범위내 관리토록 하는 점을 감안하면 비정상적으로 높은 수준이다는 분석이다.
금감원은 괴리율이 크게 확대된 상황에서 레버리지 ETN에 투자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므로 투자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기초자산인 원유가격이 상승하더라도 기대수익을 실현할 수 없고, 오히려 시장가격이 지표가치에 수렴해 정상화되는 경우에는 큰 투자손실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고 설명했다.
LP의 유동성 공급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되면 지표가치로 수렴할 가능성이 높아 투자자는 괴리율에 해당하는 가격차이 만큼 잠재적 손실을 부담할 수 있다.
또한 ETN 상환 시 시장가격이 아닌 지표가치를 기준으로 상환되므로 지표가치보다 높게 매수한 투자자는 상환손실이 발생할 수 있는 가능이 있다.
금감원은 “관계기관, ETN 발행사 등과 협의해 조속한 시일 내에 ETN 시장이 정상화될 수 있도록 노력할 예정이다”고 밝혔다.
이어 “금융상품 관련 이상 징후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 금융소비자 피해를 유발할 수 있다고 판단되면, 신속히 소비자 경보를 발령하여 금융소비자가 적절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고 전했다.
김경찬 기자 kkch@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