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만 이재용닫기

26일 삼성전자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회사가 지난해 지분율 20% 이상을 획득해 인수한 자회사는 총 4개다.

이스라엘의 스마트폰 관련 카메라 솔루션 스타트업 '코어포토닉스' 지분 100%도 인수했다. 해당 업체는 멀티카메라와 광학줌 관련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또 영국 인공지능(AI) 식품기술 스타트업 '푸디언트' 지분도 100% 확보했다. AI가 사용자 식습관 등을 분석해 맞춤형 레시피를 제공하는 스마트냉장고 기술확보를 위한 행보인 것으로 풀이된다.
이어 올해 1월 삼성전자는 미국 5G 확대에 대응해 현지 5G 망설계 전문기업 '텔레월드 솔루션즈'을 인수했다고 밝힌 바 있다.

갤럭시폴드2 폼팩터 예시. 사진=삼성전자.
다만 업계에서는 시스템반도체 분야에 대한 M&A가 없다는 점을 지적한다.
지난해 이재용 부회장은 2030년까지 시스템반도체에 총 133조원을 쏟아부어 해당 분야 글로벌 1위에 올라서겠다고 선언했다.
전자업계 관계자는 "삼성전자가 비반도체 목표를 달성하려면 전장용 반도체 등 새로운 분야에 대한 M&A가 필수"라고 진단했다.
재계에서는 미래투자 결정권을 가진 이 부회장의 파기환송심이 지나치게 길어지고 있다고 지적한다. 2016년부터 4년째 계속된 국정농단 수사와 재판으로 기업 의사결정 속도가 글로벌 경쟁사에 비해 뒤쳐지고 있다는 것이다.
한편 앞서 지난 14일 예정됐던 이 부회장의 파기환송심 공판 준비기일은 특검의 반발로 한 차례 연기됐다. 이어 특검은 재판부가 삼성이 내놓은 준법감시제도를 양형감경사유로 삼고자 한다며 재판부에 대한 기피신청을 했다.
곽호룡 기자 horr@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