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날 대구를 중심으로 확진자수가 두자수로 증가했다는 소식에 안전자산선호가 강화된 가운데 관련 추이를 더 봐야 한다.
지난 주 금요일 한은 총재가 금리인하에 대해 선을 긋는 발언을 했지만, 이번주 들어 대통령이 '비상경제시국'을 거론하면서 금리인하 기대감이 커졌다.
한은 총재와 대통령의 엇갈리는 발언을 감안할 때 다음주 통화정책 회의의 금리결정 결과를 장담하기 어렵다는 지적들도 나오고 있다.
코로나19 관련 중국의 조치도 주목을 받고 있다. 중국이 20일 대출금리를 내릴 것이란 얘기가 도는 등 통화완화에 대한 기대감도 크다. 중국이 위기에 빠진 항공산업을 지원할 것이란 소식은 간밤 뉴욕 금융시장에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
블룸버그는 중국 정부가 코로나19 사태로 타격을 입은 항공업계 구제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보도했다. 유동성을 직접 투입하거나 합병을 추진하는 방안이 거론되고 있다는 내용이었다.
■ 美금리 4일만에 반등했으나 반등폭 제한..뉴욕 주가 최고치 경신
미국채 금리는 4일만에 반등했으나 상승폭은 제한적이었다. 주택 관련 통계 등이 금리상승 압력으로 작용하는 듯 했으나 FOMC 의사록에서 드러난 코로나19 경계감이 상승을 제어했다.
코스콤 CHECK(3931)에 따르면 미국채10년물 금리는 0.43bp 오른 1.5645%, 국채30년물 수익률은 0.35bp 상승한 2.0136%를 기록했다. 국채2년물은 1.64bp 상승한 1.4198%, 국채5년물은 1.97bp 오른 1.4110%를 나타냈다.
미국 상무부는 1월 주택착공 허가 건수는 전월대비 9.2% 늘어난 155만1000채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지난 2007년 3월 이후 최대치였다. 시장에서 예상한 143만채를 대폭 상회하는 수치였다. 신규주택 착공은 전월대비 3.6% 감소한 156만7000채로 집계됐으나 예상치인 142만채보다는 양호했다.
FOMC 위원들은 지난달 정례회의에서 현행 정책기조가 당분간 계속 적절할 것이라는 입장을 취했다. 이들은 다만 코로나19 사태가 FOMC 경제전망에 미치는 새로운 위험요소가 됐다고 강조했다.
뉴욕 주가는 주택지표 호조, 중국 정부의 항공사 구제 방안 검토 소식 등으로 상승했다.
다우지수는 115.84포인트(0.40%) 오른 2만9,348.03, S&P500지수는 15.82포인트(0.47%) 높아진 3,386.11, 나스닥은 84.44포인트(0.87%) 상승한 9,817.18에 거래됐다.
달러화 가치는 6일 연속으로 상승하면서 3년 만의 최고치에 근접했다. 주택지표 호조, 성장률 쇼크에 부닥친 일본 엔화의 하락 등이 달러를 지지했다. 달러인덱스는 전장보다 0.2% 오른 99.64에 거래됐다.
국제유가는 모처럼 급등하면서 지난달 말 이후 처음으로 53달러를 넘어섰다. 리비아를 둘러싼 지정학적 긴장감, 미국이 베네수엘라 제재 회피를 도운 러시아 최대 석유회사를 제재한다는 소식 등이 상승 재료로 작용했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WTI 선물은 전일대비 1.24달러(2.4%) 오른 배럴당 53.29달러에 장을 마쳤다. ICE 선물거래소의 브렌트유는 1.37달러(2.4%) 오른 배럴당 59.12달러에 거래됐다.
■ 코로나19 추이, 정부 부동산 대책 등 주목
최근 외국인이나 외국계를 중심으로 한은이 다음주 금리를 내릴 것이란 인식이 강했다. 한국경제가 지닌 중국경제와의 밀접한 연관성 때문이었다.
코로나19 사태가 아직 진행 중인 상황에서 외국계 기관들은 한국 성장률 전망치를 낮추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S&P는 코로나19 확산 영향으로 올해 한국의 성장률 전망을 2.1%에서 1.6%로 하향 조정했다. 성장률 전망을 2%대 초반에서 1%대 중반으로 50bp나 낮춘 것이다.
중국 전염병에 따른 공급망 차질 등으로 한국 경제의 타격이 불가피하다는 점을 이유로 제시했다.
전염병 사태가 쉽게 진정되지 않으면서 최근 한국의 2% 성장이 어려워졌다는 평가들은 많아졌다.
현재로선 코로나 사태가 계속 진행 중이고 한국경제가 얼마나 더 전염병 영향을 받을지 가늠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전날 대구에서 확진자가 대량으로 발생하는 등 방역방이 뚫리면서 지역사회로 전염병이 얼마나 확산될지 봐야 한다.
한국은 최근까지 상대적으로 잘 관리를 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지만, 전날 얘기치 못한 확진자 대량발생으로 인해 다시금 상황을 주시할 수 밖에 없다.
아울러 기준금리 인하 여부와 관련한 기대감 변동도 시장을 불안정하게 하고 있다. 익명으로 등장한 청와대 관계자의 원론적인 발언이 언론을 통해 과도하게 증폭되기도 한다.
아무튼 한은과 정부의 발언 톤이 달랐던 가운데 정부는 표면적으로 금리는 한은이 결정할 일이라는 입장이다.
정부의 부동산 대책도 주목된다. 최근 소위 수용성 등을 중심으로 아파트 값이 급등하는 양상도 나타나고 있다.
정부의 12.16 대책이 기대한 만큼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정책을 내놓을 때마다 풍선효과가 나타나고 있어 정부가 다시금 강력한 규제책을 내놓을 수 밖에 없을 것이란 시각들도 강하다. 수도권 아파트 가격 움직임은 정부 뿐만 아니라 한은의 통화정책에도 적지 않은 부담이다.
문재인 정부 출범 뒤 나타난 서울 아파트값 폭등은 한국인들의 자산 격차를 대폭 확대했으며 계급 사다리 붕괴, 노동 의욕 저하 등 많은 사회 문제를 일으켰다.
1월 금통위의사록을 보면 금통위원들 다수도 아파트 값 급등에 대한 부담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