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

조 회장은 19일 고 조양호닫기

그는 이어 “현재로서는 항공운송과 제작, 여행업, 호텔 외에는 별로 생각이 없다”며 “대한항공이 자리를 잡으면 전체적으로 정리할 게 좀 있을 것 같다”며 향후 대규모 구조조정을 진행할 생각이 있음을 내비쳤다.
재계에서는 지난 17일 고 조충훈 한진그룹 창업주 기일 이후 진행할 정기 인사를 통해 조 회장이 구조조정을 점진적으로 진행할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 5월 그룹 총수에 취임한 이후 초점을 맞춘 경영권 방어에서 벗어나 본격적인 경영 행보를 걸을 것이라는 예측이다.
본격적인 구조조정 이전에 대한항공의 실적 개선을 선행할 것으로 보인다. 조 회장이 해당 간담회에서 ‘대한항공이 자리 잡으면’이라는 전제 조건을 달만큼 현재 대한항공 실적은 부진하다.
올해 3분기 대한항공 실적은 매출 3조3829억원, 영업이익 964억원이다. 특히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76.0% 급락했다.
실적 부진의 원인은 화물운송으로 꼽힌다. 글로벌 무역량 감소에 따라 해당 분야 수송량이 전년 동기보다 11% 급감했다. 남정미 유안타증권 항공 연구원은 “일본, 중국 노선 감소에도 불구하고 동남아 노선 등을 통해 여객 운송 실적은 타 항공사 대비 양호했다”며 “화물운송 부문 부진이 3분기 실적 하락에 주효했다”고 분석했다.
다행히 내년 대한항공 실적은 개선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LCC(저비용 항공사) 대비 강점을 보이는 장거리 노선 등을 앞세워 여객운송 실적 호조, 내년 7월 계획된 도쿄올림픽 등으로 화물운송 실적 개선이 기대된다는 예상이다.
하준영 하이투자증권 운송·유통 연구원은 “내년 여객 운송의 경우 비즈니스석 좌석 수요 증가 등에 힘입어 실적 호조가 예상된다”며 “화물 운송의 경우 도쿄올림픽을 기점으로 미주발 일본행 노선 매출 증가를 기대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서효문 기자 sh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