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구닫기

정부는 지난해 5월 '동산금융 활성화 추진 전략'을 발표하고 추진해 왔다.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지난 6월말 기준 전체 동산담보대출 잔액은 1조657억원으로 집계됐다. 동산/채권 등 담보 6613억원, IP(지식재산권) 담보가 4044억원이다.
IP제외 일반 동산담보의 경우 지난해 7월부터 올 6월까지 지난 1년간 신규 공급액이 5951억원으로 예년 대비 7.8배 가량 늘었다. 대출 잔액도 6613억원 늘어 3.2배 가량 증가했다.
특히 올해들어 증가세가 확대되는 양상이다. 동산/채권 등 담보대출 신규 공급액 규모는 올 4월 900억원 규모로 크게 뛴 뒤, 이후 매월 800억원대 신규가 이뤄졌다.
정부의 혁신금융 기조 가운데 시중은행들도 IP 담보대출 규모를 크게 늘리고 있다. 올 4월 이전까지 시중은행 IP 담보대출 잔액은 13억8000만원으로 비중으로 따지면 0.4%에 불과해 사실상 취급하지 않았다. 하지만 3개월이 지난 6월 기준 잔액이 793억2000만원으로 늘어 비중도 19.6%로 크게 뛰었다.
은행들이 사물인터넷(IoT) 등을 통한 사후관리를 통해 여신관리 부담과 비용도 경감시키고 있다고 평가됐다.
B은행은 기기 구입목적으로 제2금융권의 고금리 리스자금을 이용중이던 업체에게 동산담보를 통해 구매자금을 지원했다.
C은행은 LED제조, 바코드 특허 등을 토대로 IP담보대출을 지원하고, D은행은 18만개의 장난감(재고)을 담보로 운전자금을 공급했다. E은행은 가축(한우)을 담보로 송아지와 사료 매입 필요자금을 지원했다.
정부는 동산담보 물꼬를 텄다고 평가하고 올해 8월중 일괄담보제 도입, 개인사업자 이용 확대 등을 골자로 한 동산/채권담보법 개정안을 마련하고 연내 법률 개정에 나서기로 했다.
아울러 정부는 내년 상반기에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와 동산담보 회수지원기구를 설립할 예정이다.
17일 9곳 은행장이 참석한 동산금융 활성화 1년 간담회에서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일각에서는 동산의 담보로서 내재적 한계, 규모가 작음을 지적하지만 될 수 있다는 한 가지 이유는 우리 기업이 600조원의 동산자산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라며 "개척자의 정신으로 우리 창업기업과 중소기업을 위한 혁신적 금융의 확산을 위해 은행권이 힘써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