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후 3시55분, 달러인덱스(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화 가치)는 97.50으로 전장보다 0.12% 높아졌다.
금리선물 시장에서는 이달 50bp 금리인하가 이뤄질 확률을 4.9%로 가격에 반영하고 있다. 일주일 전만 해도 25%, 지난달에는 40% 수준이었다.
달러화 강세 반작용에 유로화는 약해졌다. 유로/달러는 1.1205달러로 0.09% 낮아졌다. 파운드/달러는 1.2463달러로 0.44% 하락했다. 영국의 2분기 성장률 감소 예상이 금리인하 기대를 낳고 있다.
엔화도 달러화보다 약했다. 달러/엔은 108.89엔으로 0.15% 높아졌다. 스위스프랑화는 달러화 대비 보합세에 머물렀다.
중국 위안화 역시 달러화보다 약해졌다. 달러/위안 역외환율은 0.08% 상승한 6.8948위안에 거래됐다. 호주달러화는 달러화에 0.6% 약세를 나타냈다.
이머징 통화들은 달러화 대비 방향이 엇갈렸다. 중앙은행 해임 소식에 급락하던 터키 리라화 가치는 안정을 되찾았다. 리라화 환율은 0.02% 내렸다. 브라질 헤알화 환율은 0.3% 낮아졌고 남아공 랜드화 환율은 보합 수준이었다. 반면 멕시코 페소화 환율은 1.1% 급등했다. 카를로스 우르수아 재무장관이 정책 견해차를 이유로 돌연 사퇴한 영향이 컸다. 러시아 루블화 환율은 0.4% 상승했다.
■글로벌 외환시장 주요 재료
래리 커들로 미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이 “도널드 트럼프닫기

로버트 라이트하이저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스티브 므누신 재무장관이 류허 중국 부총리 및 죵 샨 상무부 부장과 대화를 나눴다고 CNBC가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이들은 “현재진행형인 무역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협상을 이어가기 위해 만났다”며 “양측은 이같은 협상을 적절하게 이어나갈 것”이라고 소식통은 귀띔했다.
패트릭 하커 미 필라델피아 연방준비은행 총재가 금리인하 기대에 반대입장을 밝혔다. 그는 월스트리트저널(WSJ) 인터뷰에서 “글로벌 성장세 둔화와 무역정책 불확실성이 경제전망에 분명한 리스크를 야기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 경제의 명백한 강건함을 고려할 때 자신은 현 시점에서 금리를 인하해야 할 설득력 있는 이유를 보지 못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경제가 상당히 약화하고 있다고 판단된다면 금리인하를 지지하겠지만 현재는 그런 조짐이 없다”고 덧붙였다.
장안나 기자 godblessa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