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오늘 26일 분당 iCT기술센터에서 열린 SK오픈 API 포털 런칭 행사에서 한 기자가 기업의 이익과 향후 방향에 대해 질문한 것에 대한 SK측의 답변 중 일부다.
SK그룹의 주요 ICT 관계사인 SK텔레콤, SK(주) C&C, SK하이닉스, SK플래닛, SK브로드밴드, 11번가, SK실트론은 각 사가 보유한 주요 서비스의 ICT 핵심 자산인 API를 공개하고 통합 제공하는 플랫폼을 통해 상생의 길을 걷는 일에 뜻을 모았다.
이날의 행사는 박진효 SK텔레콤 CTO, 김준닫기

먼저, SK 오픈 API의 가장 큰 특징은 SK그룹의 기업 자산인 각 사 보유 API와 활용 매뉴얼 및 샘플 등을 제공한다는 점이다. API(Application Programing Interface)는 5G 상용화 이후 활용도가 더욱 급상승할 것으로 예측되는 것으로 소프트웨어와 서비스를 구성하는 기본요소이기에 기업의 핵심 자산으로 분류된다. 벤처, 개발자 등은 이종(異種) 서비스 간 연결이 중요해진 현상황을 비즈니스에 반영하여 본인 또는 기업이 지니고 있던 한계를 API를 기반으로 극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박진효 SK텔레콤 ICT기술센터장이 SK 오픈API 포털의 원스톱 지원을 설명하는 모습/사진=오승혁 기자
특히, SK ICT 패밀리 임원들은 발표 중에 티맵과 클라우드 캠을 인용하며 API가 서비스의 진화를 어떻게 이뤄내고 있는지 예시를 제공했다.

△고영호 SK브로드밴드 성장트라이브장이 SK 오픈API 포털에 공개된 클라우드 캠이 찍은 양양 죽도해변의 모습이 앱에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기술을 설명하는 모습/사진=오승혁 기자
이미지 확대보기이같은 API 공개는 SUPEX 추구협의회 R&D 소위원회가 ICT 관계사들의 시너지 제고 및 기술사업 영역 발굴을 위해 SK 오픈API 포털 구축을 공동과제로 선정하고 각 사가 별 제공하던 ICT 자산인 API를 한데 모으기로 결정한 일을 기반으로 이뤄졌다.
이외에도 기업은 창구의 일원화를 강조했다.
API 창구를 통합하면 개발자들은 개별 계약 형태로 제공되던 SK ICT 계열사의 API를 한 곳에서 편리하게 열람하고 활용할 수 있어 새로운 소프트웨어나 서비스를 개발하는 매시업(기술, 데이터, 콘텐츠 융합을 기반으로 기존과 다른 새로운 서비스를 만들어 내는 것)이 용이해지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예를 들어, AI 기반 인공지능 출입관리 서비스를 개발하려면, SK텔레콤의 내비게이션 서비스 T맵 API를 활용해 위치 정보를 받고, SK㈜ C&C 에이브릴의 비전 AI인 AIDEN(에이든) API를 통해 안면 인식 기능을 넣으면 된다. 출입 기록을 영상으로 관리하고 싶으면 SK브로드밴드의 클라우드캠 API를 추가하면 된다.
이에 더해 고영호 SK브로드밴드 성장트라이브장은 “클라우드캠 영상 API를 누구나 이용할 수 있도록 외부에 공유해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겠다”며, “다양한 파트너사와 제휴 확대를 통해 차별화된 영상서비스로 시장을 공략할 예정”이라고 영상 콘텐츠를 이용한 시장 내 점유율 확대를 선언했다.
이같은 SK그룹의 오픈 API 제공 플랫폼 구축이 5G의 확대에 따라 통신, 산업, 콘텐츠 등 시장 전반에서 어느 정도의 성과를 선보일 수 있을지 그 귀추가 주목된다.
오승혁 기자 osh0407@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