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날 오후 서울 을지로 페럼타워에서 열린 여신금융포럼에 발표자로 참여한 석일홍 김앤장 법률사무소 변호사가 '카드시상의 발전을 위한 제도적 개선 방향'을 발표하고 있다. / 사진 = 유선희 기자
이미지 확대보기윤종문 여신금융연구소 연구위원은 4일 여신금융협회 주최로 서울 중구 페럼타워에서 열린 제7회 여신금융포럼에서 ‘카드사의 영업환경 악화와 향후 성장 방향’이란 제목의 연구자료를 공개하고 이같이 주장했다.
윤 위원에 따르면 개편 초기에는 부가서비스가 축소된 데 이어 상품에 탑재된 서비스가 줄어들면서 연회비도 인상된다고 가정했다. 이로 인해 수수료 체계 개편 첫해인 내년에는 카드 회원의 혜택에서 1000억원, 2020년 3000억원, 2021년 5000억원 등 총 9000억원의 감소분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했다.
카드사의 당기순이익 손실분은 내년에 7000억원, 2020년 5000억원, 2021년 3000억원 등으로 3년간 1조5000억원 손실이 날 것으로 예상했다. 회사채 자금 조달 비중이 76%에 달하는 가운데, 카드채 발행금리가 오르면서 조달 비용과 대손 비용이 증가하는 추세도 위험요인으로 꼽았다.
다만 윤 연구위원은 이 수치가 카드회원 혜택이 점차 감소하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단순하게 계산된 값으로, 향후 카드사별 대응 전략에 따라 상당폭 변동할 수 있다는 단서를 달았다.
그는 또 가맹점 카드수수료를 3년에 한 번씩 적격비용(원가)에 기반해 재산정하는 현재 적격비용 산정 체계를 근본적으로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우대수수료율을 적용받는 가맹점이 전체의 93%에 달해 적격비용의 유지 당위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정치적 이슈에 따라 카드수수료가 인하되면서 3년이라는 적격비용 재산정 기간이 준수되지 않고 있어서다.
이와 더불어 윤 연구위원은 신용카드 플랫폼을 위협하는 요소로 카카오페이, 삼성페이 등 간편결제서비스의 증가, 기준 금리인상에 따른 조달 및 대손비용 증가를 꼽았다. 회사채 자금 조달 비중이 76%에 달하는 가운데 발행 금리가 상승하고 있는데다가 카드 수수료 재산정으로 인해 카드사 신용등급 하락 위험이 있어 조달 비용 증가를 야기한다는 주장이다.
이어 윤 위원은 카드사들의 향후 성장 방향으로 비적격 비용에서의 한시적 절감과 카드 플랫폼을 강화해야 한다고 전망했다. 그는 "카드사의 비용절감 노력이 오히려 가맹점 수수료 인하로 작용해 악순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카드사들은 적격비용 산정 대상이 아닌 항목의 비용절감에 대한 공동협약을 맺을 수 있다"고 제언했다. 더불어 "오프라인에서 보안성, 범용성에 문제가 있는 QR코드 방식보다 보안성이 확인된 NFC결제방식의 보급 확산으로 카드 플랫폼 강화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유선희 기자 ysh@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