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같은 쏠림현상 때문에 타 지역 주민들은 금융서비스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17일 은행연합회의 `6월말 기준 은행점포현황에 따르면 국내 17개 은행의 영업점(신한은행 제외)은 총 6천39개로 이 가운데 서울지역이 34%(2천72개)를 차지했다.
여기에 경기도 지역 1천85개를 포함하면 수도권이 52%(3천157개)로 절반이 넘은 셈이다.
은행별로는 농협이 1천21개 중 서울 171개(17%), 경기 188개(18%)로 비교적 고른 분포를 보였다.
하지만 농협, 수협, 지방은행을 제외한 시중은행은 서울지역 점포만으로 과반을 차지했다.
하나은행은 전체 624개 중 320개(51%), 우리은행은 851개 중 422개(50%), SC제일은행은 365개 중 183개(50%), 국민은행은 1천149개 중 464개(40%)가 서울지역에 위치하고 있다.
서울시내 25개 구(區) 중에서는 강남구가 312개로 가장 많았고 중구(171개), 서초구(170개), 영등포구(134개), 송파구(124개), 종로구(116개) 순이었다.
반면 도봉구(30개), 중랑구(34개), 강북구(37개), 은평구(41개) 등 4개 구는 50곳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에서는 성남시 분당구가 126개로 점포가 가장 많이 집중됐다.
이처럼 지점이 부족해 접근성이 떨어지면 은행거래에 있어 불편을 겪는 것 뿐만 아니라 은행간 경쟁이 느슨해지면서 수수료나 금리 등에서도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
또 고객별 자산관리 서비스 같은 우대 서비스도 사실상 일부 지역에서만 이뤄질 수 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은행은 자금흐름을 따라갈 수 밖에 없어 자연스럽게 인구가 많고 소득수준이 높은 지역에 지점이 많아지게 된다”며 “상대적으로 소외된 지역에는 출장소 또는 현금입출금기(ATM) 등의 방식으로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시중은행 서울지역 점포현황〉
한기진 기자 hkj77@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