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금융계에 따르면 토지공사가 내달 말 5천억원 규모의 ABS를 발행할 예정인 가운데 토지를 기초자산으로 한 이 ABS의 상품화를 위해, 주간사로 선정된 증권 은행 등 금융기관이 새로운 스킴을 선보여 주목되고 있다.
우선 대우증권과 주택은행은 제안서를 통해 토지공사의 부분보증을 전제로 한 ABS발행을 제안했다. 신용보강 장치로 토공이 ABS에 대해 부분 보증을 서는 것으로 향후 토지 매각액이 상환돼야 할 원금에 미치지 못할 경우 부족분을 토공이 부담하는 구조다. 대우증권 관계자는 “캐쉬 플로어를 예측할 수 없는 자산이므로 신용보강이 절대적으로 필요한데 현재 국내에는 외국과 같은 모노라인 인슈어러의 보증을 받기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토공의 부분보증을 신용보강의 한 요소로 활용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대우증권은 이와 함께 스왑 등을 이용한 유동성 지원 방안도 검토중이다.
삼성증권과 국민·산업은행의 경우 후순위채 규모의 확대와 은행의 크레딧 라인 개설을 신용보강의 핵심 요소로 선택했다. 유동화 시킬 채권 풀 규모를 7천억원~8천억원 수준으로 확대하고 이중 5천억원을 선순위채로 발행하며 투자자에 대한 원리금 상환은 은행의 크레딧 라인 개설로 보장, 상품성을 높이는 방식이다. 신용등급 트리플 A의 국민, 산업은행이 공동으로 크레딧 라인을 개설하므로 유동성 지원이 완벽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한편 금융계 일각에서는 이같은 스킴의 다양화가 자칫 ABS 본질을 흐리게 할 수도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자산보유자의 보증이 붙는 구조 또는 유동성을 지원하는 은행들의 담보물건 처리 방식 등에서 미흡한 점이 발견된다는 것. 한 관계자는 “국내에서는 사례가 없는 형태의 ABS 발행인 탓에 주간사들이 제시한 스트럭처링의 완벽함을 기대하기는 힘든 것 같다”며 “이같은 골격의 유동화증권 발행에 대한 금감원의 승인 여부가 관심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태준 기자 june@kf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