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재 산업재 대비 iT 헬스케어 상대수익률/제공 신한금융투자
다보스 포럼은 1971년 이후부터 지속돼온 대표적인 세계경제포럼으로 올해 화두는 4차 선업혁명의 이해였다. 포럼 기간동안 기술혁명이 현재와 미래세대에게 어떤 변화를 가져다줄지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이번 다보스포럼이 바라본 2016년 세계 경제의 핵심은 저성장과 변동성 확대다. 저성장으로 인한 글로벌 부채 증가와 신흥국 위기는 세계 경제가 뉴 노말 시대에 봉착했음을 알렸다. 또한 다보스포럼은 저유가도 중요한 글로벌 성장 한계 요인으로 꼽았다.
이에 대한 돌파구로 다보스포럼이 제시한 화두가 ‘제4차 산업혁명’이다.
신한금융투자 측에 따르면 세계 1인당 GDP 증가율은 1차 산업혁명 이후 연평균 0.4%에서 2차 산업혁명 이후 연평균 1.4%로, 3차 산업혁명 이후 1.9%로 높아졌다. 과거의 데이터가 증명하듯 기술 진보가 저성장을 극복하는 계기를 마련해 줄 수 있다는 것이다.
4차 산업혁명의 시대는 영역의 경계가 허물어짐을 의미한다. 4차 산업혁명이 도래하면 다른 업종의 융합을 바탕으로 바이오 공학과의 시너지가 이뤄지기 때문이다. IoT로 소통하며 생산 통제 주체도 사람이 아닌 기계가 대신 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각 영역간의 경계는 더욱 모호해 질것으로 예상된다.
신한금융투자는 4차 산업혁명에 의한 변화와 효과를 두 가지 관점에서 바라봤다.
첫째 로봇에 의한 물리적 생산의 자동화와 둘째 인공지능에 의한 효율화다. 보스턴컨설팅그룹은 미국 자동차 생산 비용이 2020년까지 12%, 2025년까지는 22% 낮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또한 2018년에 이르면 미국 가전 제품을 생산하는 로봇이 노동 임금보다 저렴해지는 수익 교차가 이뤄질 것으로도 예상했다. 이는 인간의 노동력이 기계로 대체되는 것을 의미한다. 더불어 미국 IT 시장조사기관 가트너는 감독·관리 부문도 로봇이 투입돼 대체될 것으로 분석했다.
또한 4차 산업혁명이 가져올 변화인 플랫폼의 발전은 경제 정책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한국 정부의 제조업혁신 3.0같은 제조업 분야 정책도 혁신을 통해 스마트팩토리와의 연계를 추구해 자동화와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있다. 이 밖에도 미국의 GE 산업인터넷, 독일의 인더스트리 4.0 등도 산업 혁신 부문과 연관 깊은 정책들이다.
이 같은 산업혁명의 변화는 주식시장에서도 읽을 수 있다. 신한금융투자 측은 2012년 이후를 기점으로 S&P 500 지수와 KOSPI 지수 모두 4차 산업혁명 관련 산업군인 IT·헬스케어 수익률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이어 4차 산업혁명이 현재 초기 구간인 만큼 이들 섹터의 아웃퍼폼이 장기화 될 것으로 전망했다.
신한금융투자 김영환 연구원은 “주식시장은 이미 4차 산업혁명의 도래를 점진적으로 반영하는 중 이다”라며 “신흥국 산업화가 글로벌 경제 성장을 견인하던 시기에는 소재·산업재 섹터가 벤치마크 대비 아웃퍼폼했지만, 신흥국 성장이 둔화되고 있는 현 국면에서는 IT, 헬스케어 섹터가 아웃퍼폼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일부 전문가들은 4차 산업혁명이 유토피아만은 아니라며 비판적 견해를 드러내기도 했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사회적 불평등이 높아져가는 가운데 노동자들의 노동력을 기계가 대체할 수 있다고 전했다. 이로 인해 미래 노동 시장은 고기술과 저기술, 고임금과 저임금 간의 격차가 커져 중산층 지위가 축소될 것으로 현경연 측은 전망했다.
고영훈 기자 gyh@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