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연 서민금융진흥원장
올해도 금융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며 '지속가능한 서민금융 가치를 더하는 ESG 선도기관'이라는 비전을 현실화할 계획이다.
2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올해 정책서민금융 규모는 10조 7,500억 원으로, 역대 최대 규모를 경신했다.
지난 2023년 10조 6,000억 원 규모의 공급이 결정되며 최대 규모로 화제가 됐지만, 2년 만에 기록이 깨졌다.
시중은행들도 서민금융 지원에 참여하고 있지만, 공급 비중이 가장 큰 곳은 단연 서민금융진흥원이다.
신용 평점과 소득이 낮은 근로자에 3,000만 원 한도로 대출을 지원하는 '새희망홀씨' 대출을 올해 올해 4조 1,000억 원 규모로 공급하고, 저신용·저소득 근로자를 대상으로 하는 '근로자햇살론'도 3조 3,300억 원을 지원할 방침이다.
특히 근로자햇살론의 경우 공급 규모를 지난해 2조 6,000억 원에서 약 7,000억 원 늘렸고, 대출 한도도 1,500만원에서 2,000만 원으로 확대했다.
이밖에 미소금융과 소액생계비대출, 햇살론유스, 햇살론카드, 최저신용자 특례보증 등 다양한 금융 취약계층을 위한 상품들을 운용할 방침이다.
태생부터 ESG를 위해 설립된 서민금융진흥원이지만, 독자적인 ESG 경영 체계를 만들기 시작한 것은 2021년 ESG 경영위원회를 구성하면서부터다.
지난해 9월에는 2024~2028년 ESG경영전략 고도화를 진행했다. 이를 통해 ▲온실가스감축률 50% ▲정책서민금융 2조 8,000억 원 ▲동반성장평가 최우수 ▲종합청렴도 1등급을 2028년 ESG 경영목표로 삼고, 체계적인 ESG 경영 추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환경(E) 부문에서는 온실가스 감축 캠페인과 녹색 제품 구매 확대, 의류 리사이클링 활동 등을 통해 탄소 절감에 일조하고 있다. 탄소 감축과 사회공헌을 동시에 추구하는 '노후 PC 기부' 사업도 진행했다.
사회(S) 부문 강화를 위한 서민금융 인프라 확대에도 적극 나섰다. 이를 통해 만들어진 대표적인 상품으로 ‘최저신용자 특례보증’이 있는데, 불법사금융에 내몰리는 취약계층을 위해 마련됐으며 신용 하위 10% 이하이면서 연소득이 4,500만원 이하인 서민이 대상이다.
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청년층의 안정을 지원하기 위한 맞춤형 자산형성 지원 프로그램 ‘청년희망적금’도 출시했다.
더욱 많은 서민들이 대출을 이용할 수 있도록 '서민 특화형 신용평가모형'도 구축했다.
정책서민금융 이용자 510만명의 특성을 분석해 만든 '서민 특화형 신용평가모형'은 기존 금융정보 외에 금융결제원이 보유한 자동이체 내역, 신용평가사의 휴대폰 정보 변동 내역 같은 다양한 대안정보를 활용해 대출 문턱을 최대한 낮출 수 있도록 개발했다.
서민금융진흥원은 향후 'ESG경영 지수'를 신설해 ESG 성과 확산에 역량을 더욱 집중할 예정이다.
또 단순히 대출상품을 공급하는 데에서 그치지 않고, 서민의 금융역량 강화와 재기 지원을 위한 다양한 비금융서비스 제공에도 힘쓸 방침이다.
김성훈 한국금융신문 기자 voicer@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