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산 수리봉에서 바라본 서울 도심./사진=주현태 기자
이미지 확대보기4일 민주노동연구원이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와 KB부동산 통계 등을 근거로 분석한 ‘부동산 폭등기 청년가구 재정변화 분석(이한진 연구위원)’ 보고서에 따르면, 20대 가구가 서울 아파트를 구입하기 위해서는 86.4년이라는 기간이 소요된다. 최소 106살이 돼야 내 아파트를 구매할 수 있다는 의미다.
보고서는 2023년 기준 29세 이하인 20대 가구의 평균 연 소득은 4123만원에서 평균 소비지출(2136만원)과 비소비지출(598만원)을 뺀 ‘저축가능액’은 1389만원으로 산정됐다. 여기에 서울 아파트의 평균 매매가격이 11억9957만원으로, 저축가능액으로 이를 구입하려면 86.4년이라는 긴 시간동안 모아야 한다는 분석이다.
이러한 수치는 2014년(39.5년)에 비해 두 배 이상 증가했다. 특히 집값이 폭등한 2021년에는 이 수치가 92.8년까지 치솟았다가 2022년과 작년 소폭 줄어들었지만, 여전히 청년세대가 집을 마련하기는 어렵다.
주택가격 급등에 대한 문제는 청년세대 간 자산불평등 심화로 꼽힌다. 청년세대(39세 이하) 내에서도 하위 20% 가구 대비 상위 20% 가구의 자산 5분위 배율이 2017년 31.75배에서 2021년 35.27배로 늘어났다.
특히 경상소득 대비 노동소득 비중은 전체 평균 64.37%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20대 82.50% ▲30대 79.30% ▲40대 70.85% ▲50대 67.81% ▲60대 이상 41.06% 등으로 청년세대의 노동소득 의존도가 가장 높았다. 다만. 9년(2015~2023년) 간 노동소득 연평균 증가율은 전체 평균(4.26%)에서 20대(1.87%), 30대(4.16%), 40대(5.54%), 50대(5.39%), 60세 이상(8.43%) 등으로 청년세대가 낮았다.
이한진 연구원은 “청년세대 내 자산 불평등 확대의 이면에는 부의 대물림이 작용하고 있다”며 “청년세대 기회 평등을 위한 정부 차원의 무상교육 확대, 공공임대 공급 확대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주현태 한국금융신문 기자 gun1313@fntimes.com